디자인

타이포그래피와 레터링

hu-il 2022. 9. 20. 01:44
반응형

타이포그래피

타이포그래피란 활자, 혹은 활판에 의한 인쇄술을 가리켜 왔지만, 오늘날에는 주로 글자를 구성하는 디자인을 일컬어 타이포그래피라고 합니다. 즉 글자체, 글자 크기, 글자 사이, 글줄 사이, 판형의 크기, 인쇄 면적, 여백 등을 조절하여 전체적으로 읽기에 편하도록 구성하는 표현 기술을 말합니다.

따라서 활판에 의한 글자의 구성뿐만 아니라 평판에 의한 것, 오목판에 의한 것도 타이포그래피의 범주에 속하며 제판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있습니다.

구텐베르크의 활판인쇄술 발명 이후 많은 활판인쇄물이 이 범주에 속하며, 지극히 단순한 원리에 의해서 수백 년 동안이나 그 표현을 지배해 왔다. 특히 책의 체재나 구조를 생각할 때 그 형식은 활판인쇄술의 발명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모리스는 '한 권의 인쇄된 책은 글자 디자인과 글자 사이, 글줄 사이의 조절과 문안의 배열 외에 어떤 장식도 갖고 있지 않지만 분명히 예술 작품이다'라고 말했습니다. 즉 활판인쇄에서 타이포그래피가 얼마나 커다란 예술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가를 말하는 것입니다.

레터링에 비하여 타이포그래피는 활자 또는 사진식자에 의한 글자, 즉 한자 한자에 대해서는 이미 디자인된 글자를 사용하여 구성된 것도 포함된다. 그러므로 타이포그래피의 기본이 되는 활자 또는 사진식자의 글자 디자인이 뛰어나야 함은 물론, 이들을 잘 선택하여 그 목적에 맞도록 글자를 보다 효과적이고 개성 있게 구성해야 합니다.
 

레터링

 
레터링은 넓은 뜻으로 글자 디자인, 글자 표현, 그 기능이나 글자 자체를 의미하며 좁은 뜻으로는 '쓰는 글자'를 말하는데 활자, 사식 글자, 타이프 글자, 인스턴트 레터링 등의 손으로 쓰지 않는 글자에 대한 상대적 개념으로 사용합니다.

타이포그래피가 활자와 여러 가지 요소들을 이용하여 지면을 아름답고 내용이 충실히 전달되도록 하는 것인데 반해, 레터링은 어떤 디자인을 위한 특정한 목적을 가지는 글자를 묘사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표현 방법으로는 손으로 쓰는 것도 있고, 기계적인 수단을 이용하는 것도 있다. 레터링은 글자라는 소재를 사용하여 어떤 사고나 의도를 표현하고 전달하려는 것이므로 글자의 상호관계, 즉 글자 사이의 조정 문제, 글자와 일러스트레이션, 사진, 그 외 마크나 로고 타입 등과의 조화에 대한 문제를 고려하지 않으면 안 된다. 레터링만이 분리되어 존재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레터링은 글자를 주체로 한 디자인 및 타이포그래피의 기초 분야 중 하나로서 디자인적 개념에 따라 제작되어야 한다. 레터링의 특징은 개성적이고 부드러우며, 임의의 공간, 임의의 형태, 대소, 강약 등 표현이 자유롭다는 점이다.

레터링을 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다. 여기서 균형, 조화의 의미는 물리적인 치수의 정확함이 아니고 보고 느낀 인상 즉 시각적, 심리적 조화를 의미한다. 글자는 각각의 부분이 단독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와 부분이 서로 긴밀히 결합하여 있는 것이며, 이를 서로 이어주는 것이 균형이다. 레터링은 서로 상대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균형과 조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시각적으로 조정하지 않으면 안 된다.
반응형